라이선스 가산동작 문의

안녕하세요,

로그프레소 라이선스 관련 문의드립니다.

Q1) 라이선스 가산 동작의 대원칙이
로그프레소 내부에 저장되는 데이터로 알고 있는데

위 내용이 맞을까요?

맞다면 Q2) 저장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궁금합니다.

  • 수집기를 통한 로그 수집
  • 쿼리 import 를 통한 테이블 저장

또, Q3) 행위프로파일/학습데이터셋/룩업 기능에 대한 라이선스 가산 여부도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참고로 로그프레소 서버 간에 스트림 쿼리 출력이 라이선스에 가산 되는지 물어보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결론은 서버간에 스트림 쿼리 출력은 라이선스에 가산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라이선스 가산은 내부에 저장되는 데이터가 아니라 수집기 및 외부 데이터베이스의 import 를 통해서 수집 되는 데이터가 정확한 의미인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서 수집기를 통해서 100 이 들어오고 중간에 스트림 쿼리 단계에서 필터링 되고 테이블에 60 이 저장되었다고 하더라도 수집기가 받은 100 이 라이선스에 가산 됩니다. 단, 수집기 설정 시 필터 설정을 하게 되면 필터를 거쳐서 수집된 로그만 라이선스에 가산됩니다.

1개의 좋아요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을 보고나니 또 질문이 생겨서요…ㅎㅎ

stream 쿼리 단계에서 eval 등을 통해 필드를 더 추가하게 되어 최종적으로 테이블에 140 이 저장되도 수집기가 받은 100이 라이선스에 가산 되나요?

로그프레소 라이선스 측정 기준은 로그프레소 클러스터의 외부에서 클러스터 내부로 유입된 양입니다. 로그프레소 클러스터 내부에서 어떤 작업을 수행하든, 경계에서의 유입량만 라이선스 사용으로 산정합니다.

즉, 질문하신 것처럼 스트림 쿼리에서 eval로 필드를 추가하더라도 수집 시점 데이터의 양만 측정됩니다.

1개의 좋아요